• 꽃 같은 젊음을 바쳐서 지켜낸 민주주의 - 4·19 혁명

    |18/03/30



  • 봄꽃이 아름답게 피어나는 4월입니다. 이즈음이면 유난히도 진달래가 온 산하에 흐드러지게 피어나는데요. 시인 이영도는 봄날의 진달래꽃을 보며 “그 날 스러져 간 젊음 같은 꽃 사태”(「진달래 - 다시 4·19 날에」 中)를 기억하고 노래했습니다. 바로 4·19혁명 때 꽃 같은 젊음을 바쳐 민주주의를 지켜내고자 했던 사람들을 기리는 것입니다. 이 달에는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 관련 자료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3·15 부정선거


    1956년 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장면 후보에게 패했던 경험과 1958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야권의 약진은 이승만 정권에 위기감을 주었습니다. 1960년 정·부통령선거에서 자유당은 이승만의 당선은 물론, 그의 유고시 권력을 승계할 부통령 후보 이기붕도 반드시 당선시키고자 했습니다. 이승만과 경쟁하던 유일한 야권 후보 조병옥의 갑작스런 서거로 이승만은 손쉽게 당선되었지만, 자유당은 이기붕의 부통령 당선을 위해 관권을 동원한 부정선거를 저질렀습니다. 3인조·9인조 등 집단투표와 대리투표가 벌어졌습니다. 투·개표장에서 민주당 참관인이 쫓겨났고, 투표함은 바꿔치기 당했습니다.

    ■ 승리의 화요일, 4·19혁명
    이에 항의하여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시위가 일어났고 실종되었던 김주열군이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뒤 시신으로 발견되면서 시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결국 4·19 혁명으로 분출한 국민들의 민주주의 열망에 제1공화국은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4.19를 주도한 것은 무엇보다 학생들의 힘이었습니다. 고등학생, 서울시내 소재 거의 모든 대학의 학생들이 교문을 박차고 뛰쳐나왔고 청년들의 의기는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낸 주요한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다음은 시위를 나가기 전 한성여중 2학년이었던 진영숙 양이 남긴 편지입니다.

    “시간이 없는 관계로 어머님 뵙지 못하고 떠납니다. 어머니, 데모에 나간 저를 책하지 마세요. 우리들이 아니면 누가 데모를 하겠습니까. 저는 아직 철없는 줄 압니다. 그러나 조국과 민족을 위하는 길이 어떻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도 생명을 바치더라도 싸우려고 합니다. 데모하다 죽어도 원이 없습니다. 어머니, 저를 사랑하시는 마음으로 무척 비통하게 생각하시겠지만 온 겨레의 앞날과 민족의 해방을 위해 기뻐해주세요. 부디 몸 건강히 계세요.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의 목숨은 이미 바치려고 결심했습니다.”

    1960년 4월 19일 화요일. 누군가가 목숨을 바쳐 지켜낸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의무가 오늘, 우리에게도 있습니다.

    ※ 참고문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선거, 민주주의를 키우다」, 2016.
    신현수, 「(국어선생님의) 시로 만나는 현대사」, 2009.

  • 다음글 민주선거의 출발, 5·10 총선거
  • 이전글 참참·바루·알리와 함께 하는 제7회 지방선거

[13809] 경기도 과천시 홍촌말로 44 대표전화 : 02-503-1114